본문 바로가기

무의미한 비밀 댓글은 무통보 삭제


언어

(12)
거란문자 자료에 나오는 고려 거란소자 자료에는 종종 주변 민족과 국가가 언급됩니다. 거란문자 자료는 거란의 관점에서 주변국과의 관계사를 조망할 수 있는 새로운 재료를 제공합니다. 고려가 언급되는 정확한 맥락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비문의 상당 부분을 검토한 뒤 이미 알려진 사료와의 대조가 요구됩니다. 그러나 현재로서는 거란소자로 기록된 거란어 문장을 빈틈없이 이해하기는 어려운 실정입니다. 이 글의 취지는 거란소자 자료에서 언급된 ‘고려’의 모든 용례를 포함하는 문장의 원문을 제시하고 대략적인 해석을 독자에게 제공하는 것입니다.야율포속리태부묘지명1105년에 새겨진 거란소자 《야율포속리태부묘지명耶律蒲速里太傅墓誌銘》의 묘주는 횡장橫帳 맹부방孟父房의 야율사제耶律思齊, 字는 𘭎𘰕 Bayň, 名은 𘰩𘬷𘲆𘱦 Puuzuğʷəər (1058..
거란어로 “동녘”은 doru가 아니다 나무위키의 ‘동란국’ 문서를 읽던 중 거란어에 관한 해묵은 학설을 마주쳤습니다. 우선 동단국의 丹을 ‘란’으로 읽을 동기가 전무하다는 문제는 이번 글의 주제가 아니므로 굳이 상세히 지적하지 않겠습니다. 해당 나무위키 문서에는 한문 사료에서 東丹國으로 기록된 국가가 거란문자 자료에서는 “동쪽”을 의미하는 접두어 없이 오직 ‘dan gur’로 나타난다는 기술이 나오는데, 제가 사용하는 오타케 마사미식 거란어 표기로는 𘰝𘬐 𘱚𘮒 taan gur [탄 구르]입니다. 바로 뒷 문장에 ‘mos-i gur’가 나오는 것으로 보아 추측건대 이것은 아이신교로 울히춘의 표기와 주장을 전용轉用한 것이 분명해보입니다. 해당 문서에서는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거란어에서 “동쪽”을 의미한다고 여겨지는 수수께끼의 단어 *..
거란문자 자료에 나오는 발해 (1) 발해渤海는 고구려의 멸망 이후 당 무측천武則天 시대에 일어나 거란에 의해 멸망한 다민족 국가입니다. 발해가 스스로 남긴 역사 기록은 《정혜공주묘비貞惠公主墓碑》와 같은 희소한 한문 묘지를 제외하면 전하지 않으므로, 발해사를 탐구하기 위해서 오랜 기간 중국과 한국, 일본측 사서에 기록된 소략한 정보에 의존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그러나 묘지명을 중심으로 한 거란문자 자료의 발굴 및 연구가 활성화되면서, 중국과 일본의 연구자들이 주축이 되어 거란의 관점에서 바라본 발해 관련 기록을 조명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성과는 국내외 역사학자들이 인용하면서 이미 어느 정도 알려진 내용들이지만, 이 글의 취지는 거란문자 자료에 나타나는 발해 관련 내용의 원문을 한국어 독자에게 소개하는 것입니다. 이 글은 두 편으로 계획되어 ..
Nova N 176를 다룬 Zaytsev (2015)의 국역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요대 중국어는 근고를 재정의하는가 이상적인 언어의 시대 구분은 언어학자가 판단하기에 중요하거나 특징적인 언어의 유형적 개신에 기반해서 정립되어야 합니다. 그러나 역사 문헌이 해당 언어의 공시태를 반드시 균등하고 풍부하게 반영한다는 보장이 없으므로, 필연적으로 특정 공시태를 총체적으로 반영한 몇몇 문헌 자료를 기준으로 편향적으로 정립될 수밖에 없었습니다. 일본어 음운사의 시대 구분을 보면, 나라奈良 시대의 《만엽집萬葉集》을 기준으로 ‘고대 일본어’를 정립하고, 무로마치室町 시대의 키리시탄 문헌을 기준으로 ‘중세 일본어’를 정립합니다(하시모토 신키치 1927). 한국어의 경우도 비슷합니다. 음운 체계의 총체를 제공하는 자료는 아니지만, 일반적으로 향가, 구결, 이두 자료를 기준으로 ‘고대 한국어’를 정립하고, 15세기 한글 창제를 기준으로 ..
단국대 《한국역대한자자형자전》 DB의 공개를 기다리며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사전편찬사업 《한국역대한자자형자전韓國歷代漢字字形字典》(이하 《역대》)은 단국대학교 한문교육연구소에 의해 2022년에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로, 아직 일반 공개되지는 않았으나 이 DB를 활용한 연구 논문이 2024년 4월 기준 최지연(2022)과 최지연·신윤수(2024)의 총 두 편이 공개되어 있습니다. 《역대》는 통일신라부터 대한제국 시기까지의 총 1,259종의 문집을 수록한 《한국문집총간》에 더해 《조선왕조실록》《일성록日省錄》 등 다양한 한국 역사 문헌으로부터 자형 이미지를 수집하여 구축한 방대한 규모의 데이터베이스입니다. 총 1만 593자종字種, 약 3억 80만 자형 이미지를 수록합니다. 다음은 최지연·신윤수(2024:213-214)에 제시된 《역대》가 수록하는 서종書種입니다.한국문..
거란어로 본 토욕혼어, 토욕혼어로 본 거란어 토욕혼어吐谷渾語는 자료가 희소하여 알려진 바가 별로 없는 언어입니다. 지금까지 전하는 몇 안 되는 토욕혼어 자료는 토욕혼어 화자에 의해 생산된 자료와, 그 주변 지역의 다른 언어 화자가 생산한 자료의 두 가지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저번 글에서 시독試讀해본  《모용지慕容智 묘지》는 토욕혼 문자라고 명명된 생경한 문자가 석각되어 있는데, 토욕혼어 화자에 의해 생산된 현전하는 유일한 자료로 여겨집니다. 토욕혼 왕국은 남쪽으로는 토번, 동쪽으로는 시대에 따라 다양한 중국, 소위 ‘탁발拓跋 국가’가 자리했습니다. 북쪽의 초원 오아시스 지대에는 시대에 따라 유연柔然 혹은 돌궐과 접경했습니다. 이 중 토번과 중국은 토욕혼의 언어에 관한 기록을 남겼습니다. 티베트 문자 자료인 돈황 사본 《PT 1283》에는 거란의 ..
《모용지 묘지》의 토욕혼 문자 시독 2019년 12월 25일, 중국 간쑤성 톈주 티베트족 자치현 소재의 무덤에서 좌면에 가설적인 토욕혼吐谷渾 문자가 새겨진 묘지명(7세기 말?)이 발견되었습니다. 묘주는 토욕혼 왕국의 마지막 왕인 모용낙갈발慕容諾曷鉢의 삼남 모용지慕容智입니다. 토욕혼어는 선비·몽골어족 선비어파에 속하는 사멸한 언어로, 고유명을 포함한 몇 가지 단어와 단편적인 기록 외에는 알려진 것이 거의 없습니다. 선비족의 일파인 모용부가 서역에 세운 국가인 토욕혼은 서기 663년에 토번吐蕃에 의해 멸망하였습니다. 그런데 《모용지 묘지》에서 토욕혼 문자로 여겨지는 수수께끼의 한자계 문자가 새겨진 것이 확인되면서, 약간의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이 묘지명에 새겨진 것이 정말로 토욕혼 문자로 적힌 토욕혼어라면, 이미 선비어파 중에서 거란어..
한자 약자의 4점 중첩 부호의 기원을 찾아서 (미완) 조선시대 문헌에 나타나는 속자俗字에는 2점 중첩부호와 4점 중첩부호가 활발하게 사용되었습니다. 이중 주로 글자 내의 동일 단위체가 상하 대칭(기하학적 정의가 아님)으로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 하단의 단위체를 2점 중첩부호로 치환하는 약자 형성 방식은 중국에서 발생하여 주변 한자문화권 국가로 확산된 국제 속자입니다. 그러나 品품과 같이 동일 단위체가 상단에 하나, 하단에 둘 배치되어 있는 경우(이를 品字 꼴이라고 함)에 하단을 4점 중첩부호로 치환하는 약자 형성 방식은 중국 문헌에서는 확인되지 않고, 오로지 한국과 일본에서만 나타나는 역외域外 약자 형식입니다. 다만 品字 꼴이 아닌 좌우 대칭 단위체를 4점 중첩부호로 대체한 속자는 중국을 포함한 한자문화권 전역에서 나타납니다. ‹楽› ‹薬› ‹› ‹› ..
《만엽집》 1:9의 난독 구절은 고대 한국어 서기 8세기 고대 일본어로 작성된 고전 시가집 《만엽집萬葉集》은 스무 권 구성인만큼 수록된 노래의 양이 방대합니다. 고대 일본어의 연구는 에도시대 일본 국학자들이 《만엽집》을 고증하면서 시작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비슷한 성격의 문헌일 것으로 추정되는 신라의 《삼대목三代目》은 고대 한국어를 반영할 것으로 기대되는데, 이미 오래 전에 산실되어 역사 속으로 영원히 사라져버렸다는 사실을 생각해보면, 일본어는 문헌 자료를 활용한 고대 언어의 연구에 참으로 축복받은 상황에 있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만엽집》에는 단 한 수, 연구자들로부터 고대 한국어를 반영한다고 여겨지는 시가 존재합니다. 莫囂圓隣之大相七兄爪謁氣 (고대 한국어로 여겨지는 난독 구절) 吾瀨子之 “나의 님께서” 射立爲兼 “떠나가버렸구나..
《낭군행기》의 마지막 글자는 정말로 “새기다”인가? 국내 거란어학 활성화의 일등공신이라고 할 수 있는 김태경金泰京 소장의 저서 《거란문자: 천년의 역사, 백년의 연구》(2022)는 한국어 독자에게 있어 더할 나위 없는 훌륭한 거란어학 입문서입니다. 이 책이 출간된 때에 저는 군복무 중이었는데, 외출을 나가서 구입하여 부대 안에서 읽은 기억이 아직도 생생합니다. 이 책은 거란어에 관한 흥미로운 사실과 연구사, 또 연구자들이 겪은 소소한 일화를 소개함으로써 자칫 따분할 수도 있는 주제를 흥미롭게 다루었습니다. 특히 권말 부록에 있는 탁본 이미지는 무척이나 유용합니다. 그러나 간혹 이 책에 드러난 김태경 소장의 사견 중에 약간의 문제가 있다고 여겨지는 부분이 없지는 않습니다. 𘮧𘰗𘮚 pülügʷ “여분의”에 관해서는 이미 제 책(향문천 2024:94–97)에서..
거란어의 “쌍두사 문제”와 고대 한국어 어휘 차용 국내의 저명한 거란어 연구자인 김태경金泰京 소장 著 《거란소자 사전》(2019)에는 동물 “뱀”과 간지의 “巳”(이하 편의상 “뱀”으로 대표함)을 의미하는 거란어 단어의 거란소자 표기가 𘰕𘭞𘯶(p. 236)와 𘰗𘭞𘯶(p. 242)의 두 가지 형식으로 실려 있습니다. 두 표기는 오직 첫 번째 자소만 달라 혼동되기 쉬워보입니다. 이들이 동일 단어의 이표기인지, 아니면 한 쪽이 다른 쪽의 오독(혹은 오사)인지 판단하기 일견 곤란해보입니다만, 이 글에서는 제가 멋대로 명명한 “쌍두사 문제”에 대한 제 견해를 소개하고자 합니다. 먼저, 관견管見에 따르면, 거란어 연구를 주도하고 있는 중국 학계의 일반적인 입장은 𘰕𘭞𘯶 ‹iň-or-oo›를 틀린 것으로 간주하고 𘰗𘭞𘯶 ‹ül-or-oo›를 올바른 표기로 보는 것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