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란소자 (4) 썸네일형 리스트형 거란소자 자소 번호 317번의 음가 추정 짧은 글이다. 지금까지 거란소자의 317번 자소인 𘯃의 음가는 명확하게 알려진바 없었다. 거란어학의 바이블이라고 칭해지는 『거란소자재연구契丹小字再硏究』(2017)의 소자 목록에서 재구음이 제시되지 않았으며, 따라서 음가 추정의 고증도 제시되지 않았다. 현시점에서 오타케 마사미大竹昌巳의 최신 논문인 「遼寧清河門西山遼墓出土漢文・契丹文墓誌訳注」(2024)에서도 추정 음가가 미상인 채로 다루어졌다. 나는 거란대자 자료를 근거로 𘯃의 음가를 ‹tad›로 추정하고자 하는데, 이는 거란어 서수사의 거란대자 표기를 근거로 한다. 거란어 서수사 다섯, 즉 “다섯 째”는 거란소자 자료를 통해 남성 단수형 𘰺𘮇𘯶𘭞 tadoor, 여성 단수형 𘰺𘮇𘯶𘯎 tadooň이 익히 알려져 있다. 이 중 남성 단수형의 .. 거란문자 자료에 나오는 고려 거란소자 자료에는 종종 주변 민족과 국가가 언급됩니다. 거란문자 자료는 거란의 관점에서 주변국과의 관계사를 조망할 수 있는 새로운 재료를 제공합니다. 고려가 언급되는 정확한 맥락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비문의 상당 부분을 검토한 뒤 이미 알려진 사료와의 대조가 요구됩니다. 그러나 현재로서는 거란소자로 기록된 거란어 문장을 빈틈없이 이해하기는 어려운 실정입니다. 이 글의 취지는 거란소자 자료에서 언급된 ‘고려’의 모든 용례를 포함하는 문장의 원문을 제시하고 대략적인 해석을 독자에게 제공하는 것입니다.야율포속리태부묘지명1105년에 새겨진 거란소자 《야율포속리태부묘지명耶律蒲速里太傅墓誌銘》의 묘주는 횡장橫帳 맹부방孟父房의 야율사제耶律思齊, 字는 𘭎𘰕 Bayň, 名은 𘰩𘬷𘲆𘱦 Puuzuğʷəər (1058.. 요대 중국어는 근고를 재정의하는가 이상적인 언어의 시대 구분은 언어학자가 판단하기에 중요하거나 특징적인 언어의 유형적 개신에 기반해서 정립되어야 합니다. 그러나 역사 문헌이 해당 언어의 공시태를 반드시 균등하고 풍부하게 반영한다는 보장이 없으므로, 필연적으로 특정 공시태를 총체적으로 반영한 몇몇 문헌 자료를 기준으로 편향적으로 정립될 수밖에 없었습니다. 일본어 음운사의 시대 구분을 보면, 나라奈良 시대의 《만엽집萬葉集》을 기준으로 ‘고대 일본어’를 정립하고, 무로마치室町 시대의 키리시탄 문헌을 기준으로 ‘중세 일본어’를 정립합니다(하시모토 신키치 1927). 한국어의 경우도 비슷합니다. 음운 체계의 총체를 제공하는 자료는 아니지만, 일반적으로 향가, 구결, 이두 자료를 기준으로 ‘고대 한국어’를 정립하고, 15세기 한글 창제를 기준으로 .. 거란어의 “쌍두사 문제”와 고대 한국어 어휘 차용 국내의 저명한 거란어 연구자인 김태경金泰京 소장 著 《거란소자 사전》(2019)에는 동물 “뱀”과 간지의 “巳”(이하 편의상 “뱀”으로 대표함)을 의미하는 거란어 단어의 거란소자 표기가 𘰕𘭞𘯶(p. 236)와 𘰗𘭞𘯶(p. 242)의 두 가지 형식으로 실려 있습니다. 두 표기는 오직 첫 번째 자소만 달라 혼동되기 쉬워보입니다. 이들이 동일 단어의 이표기인지, 아니면 한 쪽이 다른 쪽의 오독(혹은 오사)인지 판단하기 일견 곤란해보입니다만, 이 글에서는 제가 멋대로 명명한 “쌍두사 문제”에 대한 제 견해를 소개하고자 합니다. 먼저, 관견管見에 따르면, 거란어 연구를 주도하고 있는 중국 학계의 일반적인 입장은 𘰕𘭞𘯶 ‹iň-or-oo›를 틀린 것으로 간주하고 𘰗𘭞𘯶 ‹ül-or-oo›를 올바른 표기로 보는 것입..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