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란대자 (2) 썸네일형 리스트형 거란소자 자소 번호 317번의 음가 추정 짧은 글이다. 지금까지 거란소자의 317번 자소인 𘯃의 음가는 명확하게 알려진바 없었다. 거란어학의 바이블이라고 칭해지는 『거란소자재연구契丹小字再硏究』(2017)의 소자 목록에서 재구음이 제시되지 않았으며, 따라서 음가 추정의 고증도 제시되지 않았다. 현시점에서 오타케 마사미大竹昌巳의 최신 논문인 「遼寧清河門西山遼墓出土漢文・契丹文墓誌訳注」(2024)에서도 추정 음가가 미상인 채로 다루어졌다. 나는 거란대자 자료를 근거로 𘯃의 음가를 ‹tad›로 추정하고자 하는데, 이는 거란어 서수사의 거란대자 표기를 근거로 한다. 거란어 서수사 다섯, 즉 “다섯 째”는 거란소자 자료를 통해 남성 단수형 𘰺𘮇𘯶𘭞 tadoor, 여성 단수형 𘰺𘮇𘯶𘯎 tadooň이 익히 알려져 있다. 이 중 남성 단수형의 .. 거란대자 자소의 표음 유형에 따른 분류 Jerry You 씨가 운영하는 고금문자집성古今文字集成에 완성도 높은 거란대자 해서체 폰트가 공개된 기념으로 거란대자에 관한 기사를 조금 작성해볼까 합니다. 이 글에 제시된 자소 목록은 비정기적으로 갱신됩니다. 자소 수가 400개 내외이며 풍부한 출토 자료를 바탕으로 심도 있게 연구된 거란소자와 달리, 거란대자는 무엇보다 자료의 양이 적은데다 자소 수는 방대한 탓에 충분한 연구가 시도되었다고는 말하기 어려운 상태입니다. 거란대자 자료는 중국 학계를 위주로 연구되고 있으며, 영미권과 일본 학계에서는 거의 다루어지지 않았습니다. 국내에는 단국대학교 이성규李聖揆 명예교수가 은퇴 후 제출한 몇 가지 연구가 있습니다만, 여전히 재구음에서 명확한 한계를 갖는 중국측 연구에 기반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거란대자 연구..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