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나무위키로의 전재를 단호히 사절


고대 한국어

(2)
《만엽집》 1:9의 난독 구절은 고대 한국어 서기 8세기 고대 일본어로 작성된 고전 시가집 《만엽집萬葉集》은 스무 권 구성인만큼 수록된 노래의 양이 방대합니다. 고대 일본어의 연구는 에도시대 일본 국학자들이 《만엽집》을 고증하면서 시작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비슷한 성격의 문헌일 것으로 추정되는 신라의 《삼대목三代目》은 고대 한국어를 반영할 것으로 기대되는데, 이미 오래 전에 산실되어 역사 속으로 영원히 사라져버렸다는 사실을 생각해보면, 일본어는 문헌 자료를 활용한 고대 언어의 연구에 참으로 축복받은 상황에 있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만엽집》에는 단 한 수, 연구자들로부터 고대 한국어를 반영한다고 여겨지는 시가 존재합니다. 莫囂圓隣之大相七兄爪謁氣 (고대 한국어로 여겨지는 난독 구절) 吾瀨子之 “나의 님께서” 射立爲兼 “떠나가버렸구나..
거란어의 “쌍두사 문제”와 고대 한국어 어휘 차용 국내의 저명한 거란어 연구자인 김태경金泰京 소장 著 《거란소자 사전》(2019)에는 동물 “뱀”과 간지의 “巳”(이하 편의상 “뱀”으로 대표함)을 의미하는 거란어 단어의 거란소자 표기가 𘰕𘭞𘯶(p. 236)와 𘰗𘭞𘯶(p. 242)의 두 가지 형식으로 실려 있습니다. 두 표기는 오직 첫 번째 자소만 달라 혼동되기 쉬워보입니다. 이들이 동일 단어의 이표기인지, 아니면 한 쪽이 다른 쪽의 오독(혹은 오사)인지 판단하기 일견 곤란해보입니다만, 이 글에서는 제가 멋대로 명명한 “쌍두사 문제”에 대한 제 견해를 소개하고자 합니다. 먼저, 관견管見에 따르면, 거란어 연구를 주도하고 있는 중국 학계의 일반적인 입장은 𘰕𘭞𘯶 ‹iň-or-oo›를 틀린 것으로 간주하고 𘰗𘭞𘯶 ‹ül-or-oo›를 올바른 표기로 보는 것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