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언어 외/시문

중국 고도의 시 (1) – 함양

올 4월부터 9월에 걸쳐 매주 토요일 19시에 NHK 라디오 제2방송에서 컬처 라디오 『漢詩を한시를読む읽다』「中国중국 古都の고도의華北編화북편】」이 방송된다. 구성 및 해설은 國學院大學고쿠가쿠인대학 赤井益久아카이 마스히사 교수에 의한 것으로, 서점을 어슬렁거리다 NHK 텍스트로 출판된 것을 구입하고는 매주 청취하기로 하였다. NHK 라디오는 한때 내가 매일같이 즐겨 듣던 라디오 채널로서 잊고 있던 옛 취미를 다시 발견하게 된 것이다. 중국의 역사 문화에 대한 관심이 날로 깊어져가는 가운데, 지금까지 찾은 적 있는 중국의 古都고도에 대한 이해를 다지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하였다.

 

연재를 시작하기에 앞서 염려되는 점이 있다. 하나는 번역의 문제이다. 漢詩한시를 평이한 한국어로 譯註역주하는 것은 감히 시도할 작업이 아니며, 형식적으로 釋讀석독하는 방편 또한 오늘날 그 전통이 끊겨 준거할 규범이 없으니 난감할 따름이다. 궁여지책으로 NHK 텍스트에 제시된 일본어 훈독문을( 가나 표기로 바꾸어)제시하고, 뒤이어 어설프게나마 한국어 간이을 제시하려고 한다. 또 하나는 끈기의 문제이다. 매주 네 의 한시를 다루게 될텐데, 단순히 매주 라디오를 챙겨 청취하는 데 드는 수고는, 그 내용을 정리하고 번역하여 연재하는 작업에 투입되는 시간과 노력의 양에 비견될 바가 못된다. 아무리 못해도 제4장인 成都성도까지는 진행하고자 하는 의욕이 있으나, 고질적인 게으름 탓에 성취하기 쉽지 않지 않을까. 여하튼 이로써 첫 단추는 꿰었다.

 

향후 연재되는 글의 내용은 기본적으로 NHK 라디오 2에서 방송되는 『漢詩を한시를読む읽다』「中国중국 古都の고도의華北編화북편】」에 기반한다.

시안시 린퉁구를 방문했을 당시의 촬영

진나라의 수도――함양

戰國七雄전국칠웅 가운데 패권을 차지하고 천하를 통일한 것은 이었으며, 秦始皇帝진 시황제가 최초의 통일 제국을 수립하였다. 이전까지 는 봉건제도를 통해 諸國제국을 통제했으나, 郡縣制군현제를 도입해 강력한 중앙집권적 국가로 탈바꿈하였다. 이는 群雄割據군웅할거의 분립에서 벗어나 중앙이 통치의 중심이 되는 국가로의 변화를 의미했으며, 이에 따라 수도의 위상이 크게 높아지게 되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의 수도였던 咸陽함양은 천하의 중심지로 부상하였다. 함양은 중국 문화의 요람인 周原주원中原중원의 범주 안에 있으면서, 도읍지로 적합한 평야와 풍부한 수자원을 갖춘 지리적 이점을 지녔다. 渭水위수 이북에 위치한 함양은 渭城위성이라고 일컬어지기도 하였고, 渭水위수 위에 세워진 咸陽橋함양교는 사람들의 왕래와 이별을 상징하는 명소가 되었다.

咸陽覽古

初唐초당沈佺期심전기——오언율시(上平・六魚)

咸陽秦帝居
千載坐盈虛
版築林光盡
壇場霤聽疎
野橋疑望日
山火類󠄀焚書
唯有驪峰在
空聞厚葬餘

 

沈佺期심전기初唐초당의 시인으로, 雲卿운경이다. 相州상주 內黃내황(오늘날 河南省허난성 安陽市안양시 內黃縣네이황현) 출신이며, 上元상원2년의 進士진사이다. 協律郞협률랑通事舍人통사사인考功員外郞고공원외랑을 역임했으나, 張易之장역지의 죄에 연좌하여 驩州환주에 좌천되었다. 사면된 뒤에 修文館수문관 直學士직학사에 취임했다. 宋之問송지문詩名시명과 나란히 「沈宋심송」이라고 倂稱병칭된다. 律詩율시의 확립에 공헌했다.

 

咸陽かんやう覽古らんこ

「함양의 지난날을 그리다」

 

咸陽かんやう秦帝しんていきよ

함양은 시황제의 거소이니


千載せんざい そゞろに盈虛えいきよ

천 해 동안 하염없이 흥망을 되풀이했다


版築はんちく 林光りんくわう

토목을 벌인 임광궁*은 무너지고

*진 이세(二世)가 지은 이궁(離宮).


壇場だんぢやう 霤聽りうちやううと

단장*은 낙수 소리마저 사라졌다

*흙을 높게 쌓아 지은 의례를 행하는 식장.


野橋やけう 望日ばうじつかとうたが

야교*에서 바라본 태양은 시황제가 본 광경**이라 의심하고

*시황제가 짓게 한 돌다리.

**시황제가 돌다리에서 일출을 보았다는 전설이 있음.

 

山火さんか 焚書ふんしよたぐひ

산불은 분서갱유를 닮았다


驪峰りほう

오직 여산만이 변함없이 있고


むなしくく 厚葬こうさう

장대한 장례*의 여운만이 무상하게 들려온다

*시황제는 즉위와 동시에 70여 만 명을 동원하여 능묘를 건설하였음.

 

咸陽함양은 중국 최초의 統一帝國통일 제국의 도읍지이다. 始皇帝시황제 시책은 봉건제도에서 군현제도로의 이행을 통한 중앙집권화, 法家법가의 중용, 도량형・문자의 정비, 長城장성 건설을 통한 對匈奴대흉노 정책, 남방의 제압 등 괄목한 만한 것이 많으나, 그러한 개혁이 지나치게 급진적이었기에 징용과 고역에 의해 민중의 반발이 강했고, 2대 5년만에 短命단명으로 끝났다. 때문에 후세의 시인이 시를 읊을 때 이러한 흥망을 개탄하는 작품이 많다.

 

咸陽城東樓

晩唐만당許渾허혼——칠언율시(下平・十一尤)

一上高樓萬里愁
蒹葭楊柳似汀洲
溪雲初起日沈閣
山雨欲來風滿樓
鳥下綠蕪秦苑夕
蟬鳴黃葉漢󠄁宮秋
行人莫問當年事
故國東來渭水流

 

許渾허혼晩唐만당의 시인으로, 用晦용회 또는 仲晦중회이다. 潤州윤주 丹陽단양(오늘날 江蘇省장쑤성 丹陽市단양시) 출신이며, 어릴 적부터 病弱병약하고 苦學고학하였고 자연을 애호했다. 大和대화 연간의 進士진사로, 當塗縣令당도현령太平縣令태평현령監察御史감찰어사睦州刺史목주자사郢州刺史영주자사를 역임했다. 詩律시율이 교묘하고 登高懷古등고회고의 작품이 많다.

 

咸陽城かんやうじやう東樓とうろう

「함양성의 동루」

 

ひとたび高樓かうろうのぼれば 萬里ばんりうれひあり

한번 고루에 오르거든 만리의 수심을 자아내니


蒹葭けんか 楊柳やうりう 汀洲ていしうたり

갈대와 버들은 정주*의 풍경과 닮았다

*강남을 가리킴.


溪雲けいうん はじめてこつて  かくしづ

계곡에 구름이 솟고 해는 누각 뒤로 잠기고


山雨さんう きたらんとほつして かぜ ろう滿

산비가 내리려 하니 바람이 누각을 채운다


とり綠蕪りよくぶくだる 秦苑しんえんゆふ

새가 녹무*에 내려앉는 진나라 정원의 저녁무렵

*잡초가 무성한 황무지.


せみ黃葉くわうえうく 漢宮かんきうあき

매미가 단풍 위에서 우는 한나라 궁전 터*의 가을철

*한대(漢代)의 장안성(長安城)을 말함.


行人かうじん ふことかれ 當年たうねんこと

나그네여 왕년의 일은 묻지 말아다오


故國ここくより東來とうらいして 渭水ゐすいなが

진나라의 옛 도읍에서 동쪽으로 나와 위수는 의연히 흐르고 있으니

 

의 도읍지인 咸陽함양渭水위수를 끼고 長安장안의 서북녘에 있었다. 본 시는 그 古城고성에 있는 東樓동루에 올라 먼 곳을 바라보는 登高遠望등고원망의 작품이다. 登高遠望등고원망의 시는 懷舊회구鄕愁향수를 읊는 작품이 많다. 頸聯경련(제5구와 제6구)의 對句대구에서 「鳥下綠蕪秦苑夕 蟬鳴黃葉漢宮秋」와 같이 읊은 것은 榮華영화를 과시하던 秦漢帝國진·한제국조차 멸망하고, 지금은 渭水위수만이 변치 않고 흐르고 있을 뿐이라고 하는 懷舊회구의 감개가 나타난다. 이러한 감정을 이끌어내는 頷聯함련(제3구와 제4구)의 對句대구가 실로 교묘하다.

 

咸陽

晩唐만당李商隱이상은——칠언절구(下平・五歌)

咸陽宮闕鬱嵯峨
六國樓臺艷綺羅
自是當時天帝醉
不關秦地有山河

 

李商隱이상은晩唐만당의 시인으로, 義山의산, 玉谿生옥계생이다. 懷州회주 河內하내(오늘날 河南省허난성 沁陽市친양시) 출신이며, 독창적인 발상과 典故전고多用다용한다. 沈鬱침울함과 優美우미함을 아울러 갖춘 詩風시풍晩唐만당을 대표한다. 溫庭筠온정균과 나란히 「溫李온리」라고 倂稱병칭된다.

 

咸陽かんやう

「함양」

 

咸陽かんやう宮闕きうけつ うつとして嵯峨さがたり

함양의 궁궐 울창하고 


六國りつこく樓臺ろうだい 綺羅きら あでやかなり

 

おのづかられ 當時たうじ 天帝てんてい


秦地しんち山河さんがるにかゝはらず

 

始皇帝시황제는 멸망시킨 여섯 나라의 누각을 모방하여 咸陽함양 北阪북반에 건축하였고, 그곳에 각지의 미녀를 幽閉유폐시켰다.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협소해진 咸陽宮함양궁과 별개로, 渭水위수 이남에 있던 上林苑상림원參內참내키 위한 궁전인 아방궁阿房宮造營조영했다.

 

古築城曲四首 其三

南宋남송陸游육유——오언절구(下平・四豪)

百丈築城身
千步堀城壕
咸陽三月火
始悔󠄀此徒勞

 

陸游육유南宋남송의 시인으로, 務觀무관, 放翁방옹이다. 越州월주 山陰산음(오늘날 浙江省저장성 紹興市샤오싱시) 출신이며, 蘇軾소식과 나란히 宋代송대를 대표하는 시인이다. 그의 詩風시풍에서는 아비로부터 애국 사상을 계승하여 적국인 에 대한 對抗心대항심과, 동시에 평온한 일상을 중시했음이 드러난다.

 

古築城曲こちくじやうきよく四首ししゅ さん

「고축성곡 4수의 3」

 

百丈ひやくじやう 築城ちくじやう

백 장*에 이르는 성곽을 쌓는 몸

*약 300미터. 1장(丈)은 약 3미터.


千步せんぽ 城壕じやうがう

천 보*에 미치는 해자를 판다

*진 도량형의 1보(步)는 약 5척(1.5미터).


咸陽かんやう 三月さんげつ

함양의 아방궁은 다 타는 데만 세 달이 걸리니*

*항우에 의해 불태워진 아방궁은 전소되기까지 3개월이나 걸렸음.


はじめてゆ 徒勞とらう

비로소 이 헛된 수고를 후회했다

 

일반적으로 築城曲축성곡이라고 하면 북방 이민족으로부터 도시를 방어하기 위해 지은 萬里長城만리장성의 노래를 가리킨다. 그러나 본 시는 「城壕성호」「咸陽함양」「三月火삼월화」로부터 上林苑상림원에 지어진 아방궁阿房宮의 건설을 가리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