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자 (1) 썸네일형 리스트형 한자 약자의 4점 중첩 부호의 기원을 찾아서 (미완) 조선시대 문헌에 나타나는 속자俗字에는 2점 중첩부호와 4점 중첩부호가 활발하게 사용되었습니다. 이중 주로 글자 내의 동일 단위체가 상하 대칭(기하학적 정의가 아님)으로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 하단의 단위체를 2점 중첩부호로 치환하는 약자 형성 방식은 중국에서 발생하여 주변 한자문화권 국가로 확산된 국제 속자입니다. 그러나 品품과 같이 동일 단위체가 상단에 하나, 하단에 둘 배치되어 있는 경우(이를 品字 꼴이라고 함)에 하단을 4점 중첩부호로 치환하는 약자 형성 방식은 중국 문헌에서는 확인되지 않고, 오로지 한국과 일본에서만 나타나는 역외域外 약자 형식입니다. 다만 品字 꼴이 아닌 좌우 대칭 단위체를 4점 중첩부호로 대체한 속자는 중국을 포함한 한자문화권 전역에서 나타납니다. ‹楽› ‹薬› ‹› ‹› ..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