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언어/선비·몽골어족

(5)
Nova N 176를 다룬 Zaytsev (2015)의 국역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거란어로 본 토욕혼어, 토욕혼어로 본 거란어 토욕혼어吐谷渾語는 자료가 희소하여 알려진 바가 별로 없는 언어입니다. 지금까지 전하는 몇 안 되는 토욕혼어 자료는 토욕혼어 화자에 의해 생산된 자료와, 그 주변 지역의 다른 언어 화자가 생산한 자료의 두 가지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저번 글에서 시독試讀해본  《모용지慕容智 묘지》는 토욕혼 문자라고 명명된 생경한 문자가 석각되어 있는데, 토욕혼어 화자에 의해 생산된 현전하는 유일한 자료로 여겨집니다. 토욕혼 왕국은 남쪽으로는 토번, 동쪽으로는 시대에 따라 다양한 중국, 소위 ‘탁발拓跋 국가’가 자리했습니다. 북쪽의 초원 오아시스 지대에는 시대에 따라 유연柔然 혹은 돌궐과 접경했습니다. 이 중 토번과 중국은 토욕혼의 언어에 관한 기록을 남겼습니다. 티베트 문자 자료인 돈황 사본 《PT 1283》에는 거란의 ..
《모용지 묘지》의 토욕혼 문자 시독 2019년 12월 25일, 중국 간쑤성 톈주 티베트족 자치현 소재의 무덤에서 좌면에 가설적인 토욕혼吐谷渾 문자가 새겨진 묘지명(7세기 말?)이 발견되었습니다. 묘주는 토욕혼 왕국의 마지막 왕인 모용낙갈발慕容諾曷鉢의 삼남 모용지慕容智입니다. 토욕혼어는 선비·몽골어족 선비어파에 속하는 사멸한 언어로, 고유명을 포함한 몇 가지 단어와 단편적인 기록 외에는 알려진 것이 거의 없습니다. 선비족의 일파인 모용부가 서역에 세운 국가인 토욕혼은 서기 663년에 토번吐蕃에 의해 멸망하였습니다. 그런데 《모용지 묘지》에서 토욕혼 문자로 여겨지는 수수께끼의 한자계 문자가 새겨진 것이 확인되면서, 약간의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이 묘지명에 새겨진 것이 정말로 토욕혼 문자로 적힌 토욕혼어라면, 이미 선비어파 중에서 거란어..
《낭군행기》의 마지막 글자는 정말로 “새기다”인가? 국내 거란어학 활성화의 일등공신이라고 할 수 있는 김태경金泰京 소장의 저서 《거란문자: 천년의 역사, 백년의 연구》(2022)는 한국어 독자에게 있어 더할 나위 없는 훌륭한 거란어학 입문서입니다. 이 책이 출간된 때에 저는 군복무 중이었는데, 외출을 나가서 구입하여 부대 안에서 읽은 기억이 아직도 생생합니다. 이 책은 거란어에 관한 흥미로운 사실과 연구사, 또 연구자들이 겪은 소소한 일화를 소개함으로써 자칫 따분할 수도 있는 주제를 흥미롭게 다루었습니다. 특히 권말 부록에 있는 탁본 이미지는 무척이나 유용합니다. 그러나 간혹 이 책에 드러난 김태경 소장의 사견 중에 약간의 문제가 있다고 여겨지는 부분이 없지는 않습니다. 𘮧𘰗𘮚 pülügʷ “여분의”에 관해서는 이미 제 책(향문천 2024:94–97)에서..
거란어의 “쌍두사 문제”와 고대 한국어 어휘 차용 국내의 저명한 거란어 연구자인 김태경金泰京 소장 著 《거란소자 사전》(2019)에는 동물 “뱀”과 간지의 “巳”(이하 편의상 “뱀”으로 대표함)을 의미하는 거란어 단어의 거란소자 표기가 𘰕𘭞𘯶(p. 236)와 𘰗𘭞𘯶(p. 242)의 두 가지 형식으로 실려 있습니다. 두 표기는 오직 첫 번째 자소만 달라 혼동되기 쉬워보입니다. 이들이 동일 단어의 이표기인지, 아니면 한 쪽이 다른 쪽의 오독(혹은 오사)인지 판단하기 일견 곤란해보입니다만, 이 글에서는 제가 멋대로 명명한 “쌍두사 문제”에 대한 제 견해를 소개하고자 합니다. 먼저, 관견管見에 따르면, 거란어 연구를 주도하고 있는 중국 학계의 일반적인 입장은 𘰕𘭞𘯶 ‹iň-or-oo›를 틀린 것으로 간주하고 𘰗𘭞𘯶 ‹ül-or-oo›를 올바른 표기로 보는 것입..